본문내용 바로가기
지난호보기
[2025.07~08] 군인권보호관 출범 3주년, 인권사무소 개소 20주년
[2025.05~06] 아동·청소년의 인권
[2025.03~04] 여성으로 산다는 것, 장애인으로 산다는 것
[2025.01~02] 어둠은 빛을 이길 수 없다
[2024.11~12] 아듀 2024, 인권엔 양보가 없다!
[2024.09~10] 인공지능 시대의 인권
[2024.07~08] 나이 들어도 괜찮을까?
[2024.05~06] 당신의 가족은 누구인가요?
[2024.03~04] 잊힐 수 없는 이야기, 참사의 기억을 마주하다
[2024.01~02] 힘에 의한 평화는 없다
[2023.11~12] 세계인권선언 75주년
[2023.09~10] 인권영화 20년, 사람이 사람에게
[2023.07~08] 모든 군인은 무사히 집으로 돌아와야 한다
[2023.05~06] 기업한다면 인권
[2023.04] 디지털+약자
[2023.03] 디지털+약자
[2023.02] 기후위기가 곧 인권이다
[2023.01] 기후위기가 곧 인권이다
[2022.12] 장애인 탈시설
[2022.11] 장애인 탈시설
[2022.10] 적절한 주거의 권리
[2022.09] 적절한 주거의 권리
[2022.08] 노인인권
[2022.07] 노인인권
[2022.06] 군인권보호관 출범
[2022.05] 군인권보호관 출범
[2022.04] No War
[2022.03] No War
[2022.02] 잘 다녀오겠습니다
[2022.01] 잘 다녀오겠습니다
[2021.12] 다시, 함께 사람이 사람답게 사는 세상
[2021.11] 다시, 함께 사람이 사람답게 사는 세상
[2021.10] 죽음의 복도에서
[2021.09] 죽음의 복도에서
[2021.08] 청년, 꿈을 접다
인정받지 못한 동료, 대상화된 성
[2021.07] 청년, 꿈을 접다
인정받지 못한 동료, 대상화된 성
[2021.06] 끝나지 않은 민주화의 길에서, 연대!
[2021.05] 끝나지 않은 민주화의 길에서, 연대!
[2021.04] 무엇이 그들을 가두는가
[2021.03] 무엇이 그들을 가두는가
[2021.02] 다양한 세대를 말하다
[2021.01] 다양한 세대를 말하다
[2020.12] 다음 세대, 공존을 말하다
[2020.11] 다음 세대, 공존을 말하다
[2020.10] 기후 위기와 인권을 말하다
[2020.09] 생태와 인권을 말하다
[2020.08] 모두를 위한 인권을 말하다
[2020.07] 모두를 위한 평등을 말하다
[2020.06] 우리가 기억해야 할 인권을 말한다
[2020.05] 민주주의 역사 속 인권을 말한다
[2020.04] 참정권을 말하다
[2020.03] 선거정치, 인권을 말하다
[2020.02] 사각지대에 놓인 인권을 말하다
[2020.01] 재난 상황에서의 인권을 말하다
[2019.12] 대한민국 인권의 과거와 현재
[2019.11] 노동과 빈곤의 악순환
[2019.10] 자연과 사람
[2019.09] 세대갈등과 화합
[2019.08] 학생들의 노동인권
[2019.07] 편견에 갇힌 아이들
당당하게 사는 세상을 꿈꾸며
[2019.06] 노동 그리고 삶
[2019.05] 군인의 인권
[2019.04] 혐오와 차별을 넘어
[2019.03] 일상화된 혐오와 차별
[2019.02] 모두가 평등한 세상을 위해
[2019.01] 스포츠 인권을 말하다
[2018.12] 기면증 수험생에게
정당한 편의를 제공해주세요
[2018.11] 긍정의 변화를 바란다,
혐오와 차별
[2018.10] 노인이 싫은 나라 혐로(嫌老) 사회
[2018.09] 진짜 난민? 가짜 난민? 누가 난민인가
[2018.08] 법률 용어 속의 차별
[2018.07] 이제 우리는 '정말' 잘 살아야 한다.
[2018.06] 사형제는 국가의 폭력과 잔혹을 보여주는 제도일 뿐이다
[2018.05] 혐오, 우리 사회의 민낯
[2018.04] 알록달록 세상 예쁜 인권을 만나다
[2018.03] 한국사회를 비추는 거울, 미투(#Me-Too)
[2018.02] 수용시설과 국민인권
[2018.01] 일상을 비트는 폭력, 갑질
[2017.12] 이주노동자 박해, 부메랑을 쏘는 것입니다
[2017.11] 노인들에게 필요한 것은 살아낸 삶에 대한 존경이 아닐까요?
[2017.10] 경계 없는 지역사회를 꿈꾸다
[2017.09] 다문화사회, 국경 없는 추석이 되기를 바라며
[2017.08] 지금 우리에겐 인권감수성이 필요하다
[2017.07] 기업들의 인권침해, 피해자 외면에 대한 책임, 과연 누구에게 물어야 할까?
[2017.06] 따뜻한 변화의 바람이 불어오기를
[2017.05] 청년의 집, 홀로 감당하지 않기 위한 우리의 '계약'
[2017.04] 봄나무처럼 싱그러운 사람, 이동우
[2017.03] 장애인을 차별하지 않았다는 것에 대한 입증책임은 상대방에게 있다
[2017.02] 정의를 포기하지 않는다면
[2017.01] 배려는 바라봄에서 시작된다
[2016.12] 인권을 위해 세계가 정한 첫 번째 약속-세계인권선언
[2016.11] 장애를 넘어 시민과 함께
[2016.10] 고령화 사회의 노인인권 정책
[2016.09] ‘노인인권’이란 고령화 시대의 인권이다
[2016.08] 훈육이라 쓰고 아동학대라 읽는다
[2016.07] 학생인권, 뭣이 중한디?!
[2016.06] 당신과 나 ‘사이’에 무슨 일이......
[2016.05] ‘침해’와 ‘차별’을 넘어..
[2016.04] 영화 <4등>을 통해서 본 스포츠인권
[2016.03] 아동학대, 친권제한이 필요하다
[2016.02] 이상한 ‘자영업자’, 특수형태근로종사자
[2016.01] 인간을 위한 비인격화는 없다
검색창
검색어입력
인권 사람답게 사는 세상 이야기
[2025.07~08] 군인권보호관 출범 3주년, 인권사무소 개소 20주년
인권사진
군인권보호관 출범 3주년, 인권사무소 개소 20주년
깊이 보기
#1 군인권보호관 제도 3년 군대 내 인권의 문을 열다
세상,바로미터
#2 군인권보호관 3년, 병영 인권의 나침반이 되려면
깊이 보기
#3 우리집 가장 가까이, 너무 작아서 지도에
표시되지 않는 그곳에, 부산인권사무소
깊이 보기
#4 빛고을 광주, 20년 나이테에 물든 희망의 무지개
인권만화경
군인의 기본권
청년과 돌봄
나와 전우의 취약함을 알아차리는 군인이자 시민
지구인 이야기
군인의 인권, 명령과 양심 사이
세상,바로미터
종이 위에 피어난 인권
책으로 읽는 인권
『군, 인권 열외』 김형남 군인권센터 사무국장
영화 읽는 시간
지구의 대재앙 속 희망을 찾아 <플로우>
인권위가 말하다
#1 상근예비역 복무환경의 인권적 개선을 위하여
인권위가 말하다
#2 직장 내 괴롭힘 피해 군인 등에게 징계처분
결과를 통지하도록 관련 법령 개정 권고
인권위가 말하다
#3 키즈카페를 이용하려는 장애인이 장애인 본인의
장애인보조기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할 것을 권고
인권위가 말하다
#4 교실이 필요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