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금덕 할머니, <대한민국 인권상> 수여 |
- 강제동원 피해자 인권 증진에 기여한 공로 인정, 2022년 관련 부처 이견 딛고 늦게나마 결실 - |
□ 국가인권위원회(위원장 안창호, 이하 ‘인권위’)는 일제강점기 강제동원 피해자들의 인권 회복에 헌신해 온 양금덕 할머니께 늦게나마 2022년 <대한민국 인권상(국민훈장 모란장)>을 수여했다고 밝혔습니다. 인권위는 세계인권선언의 날(12. 10.)에 즈음하여 인권보호 및 향상을 위해 헌신한 유공자에게 <대한민국 인권상>을 수여하고 있습니다.
□ 양금덕 할머니는 초등학교 6학년 재학 중 ‘여자근로정신대’로 강제동원된 피해자로, 1992년 일본 정부를 상대로 첫 소송을 시작한 이래 30년 동안 일제 피해자 권리 회복 운동에 지대한 공헌을 해왔습니다.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인권위는 2022년 「상훈법」 및 「대한민국 인권상 포상규정」에 따라 공개 검증과 공적 심사를 거쳐 양금덕 할머니를 <대한민국 인권상> 대상자로 추천한 바 있습니다.
□ 본래 양금덕 할머니께 대한 <대한민국 인권상>은 2022년 세계인권선언의 날 기념식에서 훈장이 수여될 예정이었습니다. 그러나 관계부처 간 이견이 발생하여 수여가 보류되는 안타까운 상황이 있었습니다.
□ 하지만 2025년 7월, <2022 대한민국 인권상> 수여안에 대한 이견이 철회됨에 따라 국무회의에서 수여안이 최종 의결되었습니다. 이에 인권위는 훈장을 수령하는 즉시 양금덕 할머니께 훈장을 수여하며 그간의 노고에 대한 예우를 다했습니다.
□ 인권위원장은 "양금덕 할머니의 귀한 공로에 대한 예우가 적시에 이루어지지 못한 점에 대해 매우 안타깝게 생각한다"며, "늦게나마 수상자의 인권을 위한 노고와 공적이 인정받게 된 것을 진심으로 환영한다. 앞으로도 인권 향상을 위해 헌신한 유공자의 노력이 널리 인정받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