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에 기반한 치매노인 지역사회 계속 거주 돌봄 방안 연구용역 추진 읽기 :
모두보기닫기
인권에 기반한 치매노인 지역사회 계속 거주 돌봄 방안 연구용역 추진
담당부서 : 사회인권과 등록일 : 2025-02-28 조회 : 370

- 2025228일에 인권위 누리집과 나라장터를 통해 공고

 

국가인권위원회(위원장 안창호, 이하 인권위’) 2025년도 노인인권 실태조사 연구 <인권에 기반한 치매노인 지역사회 계속 거주 돌봄 방안>(이하 연구용역’)을 추진합니다.

 

연구용역 입찰은 2024228일부터 인권위 누리집(www. humanrights.go.kr)을 통해 공고하며, 제안서는 2024317일 오전 10시부터 319일 오전 10시까지 접수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인권위 누리집 참고)

 

한국사회는 2025년에 초고령사회에 진입(2025년 기준 65세 이상 노인인구 비율 20.3%)하였고, 노인 인구수는 10,514,000여 명으로 노인천만시대가 도래하였습니다.

 

고령인구 중 65세 이상 치매 환자의 수는 984,601(2023년 기준, 10.41%)이며, 향후 치매 유병률은 203010.6%, 204012.7%, 205016.1%로 갈수록 급증할 것으로 추정됩니다.

 

치매를 앓는 노인이 노인요양시설 등에 입소하여 돌봄서비스를 받는 것이 당연하고 불가피하다는 인식을 넘어, 노인이 오래 살아온 시간만큼이나 익숙한 집과 마을, 지역사회에서 계속 살아갈 수 있도록 사회적 기반이 마련된다면, 노인이 장기요양을 받을 권리와 접근권 및 돌봄 방식 등에 대한 자기결정권 등을 충분히 보장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에 인권위는 치매를 앓는 노인과 이를 돌보는 가족 등과 관련한 전반적인 인권상황 실태를 파악하고, 돌봄과 의료, 주거, 필수 생활서비스 등 구체적 실상에 관하여 치매노인과 돌보는 사람들의 목소리를 직접 청취하는 방식으로 조사를 추진하고자 합니다.

 

인권위는 이번 연구용역을 통해 인권에 기반한 치매노인 지역사회 계속 거주 돌봄 방안을 도출함으로써, 우리 사회 모든 노인이 존엄하고 행복한 노년을 살아갈 수 있도록 실효적이고 구체적인 제도개선 방안을 마련할 예정입니다.  .

 

모두보기닫기
위로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