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혐오표현 인식조사(2021)
파일첨부
제1장. 조사개요
1. 조사의 목적
2. 조사 설계
3. 응답자 특성
4. 조사항목
제2장. 결과요약
Ⅰ. 혐오표현 경험
1. 혐오표현 경험 여부
2. 혐오표현 경험 대상
3. 혐오표현 경험 장소
4. 혐오표현 문제 심각성
5. 온라인 혐오표현 경험 영향
6-1. 온라인 혐오표현 대응
6-2. 온라인 혐오표현 무대응 이유
7. 혐오표현 대응 방안
Ⅱ. 혐오표현에 대한 인식
8. 혐오표현 사용
9. 혐오표현 사용 이유
10. 코로나 이후 혐오·차별
11. 혐오차별 전망
Ⅲ. 혐오표현 발생 원인
12. 혐오표현 발생·심화 원인
13. 정치인 혐오표현
14. 언론 혐오표현
Ⅳ. 혐오차별에 대한 대응 정책
15. 혐오차별 대응 정책
제3장. 조사결과
Ⅰ. 혐오표현 경험 : 오프라인
1. 오프라인 혐오표현 경험 여부
2. 오프라인 혐오표현 경험 대상
3. 오프라인 혐오표현 경험 장소
4. 오프라인 혐오표현 문제 심각성
Ⅱ. 혐오표현 경험 : 온라인
5. 온라인 혐오표현 경험 여부
6. 온라인 혐오표현 경험 대상
7. 온라인 혐오표현 경험 장소
8. 온라인 혐오표현 경험 영향
9-1. 온라인 혐오표현 대응
9-2. 온라인 혐오표현 무대응 이유
10. 온라인 혐오표현 문제 심각성
11. 혐오표현 대응 방안
Ⅲ. 혐오표현에 대한 인식
12. 혐오표현 사용
13. 혐오표현 사용 이유
14. 코로나 이후 혐오·차별
15. 혐오차별 전망
Ⅳ. 혐오표현 발생 원인
16. 혐오표현 발생·심화 원인
17. 정치인 혐오표현 변화 : 과거대비
18. 혐오표현에 대한 정치인 역할
19. 언론 혐오표현 변화 : 과거대비
20. 혐오표현에 대한 언론 역할
Ⅴ. 혐오차별에 대한 대응 정책
21. 혐오차별 대응 정책
부록1. 설문지
부록2. 통계표
다음글
행정분야 국가공무원 인권교육 현황 실태조사
이전글
성평등한 정치 대표성 확보 방안 연구
정보제공부서 인권정책과 정의석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